아래는 작년에 성탄절 성경 말씀을 준비하여 작성한 강의록입니다.
강의록에 첨부된 숫자는 각주의 번호입니다.
각주의 내용은 이 글에서 첨부하지 않았습니다.
첨부된 각주의 내용과 함께 PDF 파일로 강의록을 읽으실 분은 강의록을 내려받으시기를 바랍니다.
각주가 첨부된 강의록 내려받기:다운로드

들어가는 글:

성탄절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가?
매년 맞이하는 성탄절은 신자나 불신자에게 연말을 맞이하는 아쉬움과 함께
새해를 준비하는 기쁨으로 특별한 의미가 있을 수가 있다.
혹 신자에게는 온 인류의 구원자로 오신 아기 예수의 탄생을 기뻐하는 날로 기억을 할 수가 있다.

각 교회에서는 예수 탄생의 성극과 성가대의 특별한 합창을 준비하는 분주함으로 성탄절을 맞이한다.
간혹 고통을 받고, 가난한 이웃과 함께하며 성탄절의 참뜻을 기리고자 하는 사람도 있다.

또한, 각 가정은 크리스마스 트리 밑에 작은 선물을 준비하며 온 가족이 즐거움으로 연말의 여유를 만끽한다.
이렇게 성탄절은 교회와 교회 밖에서 연말에 주요한 기념일로 기억이 되고 있다.

성경에서 작성된 예수 탄생의 기록은 당시에 독자에게 어떤 교훈을 제공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는가?
단순히 구원자 예수의 탄생을 기록하기 위한 연대기적 시작의 표현인가?
아니면 어떠한 특별한 영적 교훈을 제공을 위함인가?
개인적으로 오랫동안 교회 생활에서 성탄절에 관한 초대 교회의 영적 교훈을 들은 적이 없었다.
오늘 말씀의 나눔의 자리는 이러한 귀한 성탄절의 초대 교회의 영적 교훈을 선포하고 기념하기 위함이다.

1. 계시의 완성으로 맞이하는 성탄절

마태복음 관점

마태복음 1:1은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라 선포하면서 말씀이 시작된다.
이는 하나님이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과 맺은 언약의 관계에서 계시하신
창세기 22:17-18 말씀1의 성취가 바로 예수의 탄생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바울은 갈라디아서 3:162에서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말씀하신 씨를 단수로 해석하여
예수 그리스도를 언약의 성취자로 해석을 하였다.
또한, 다윗은 후손임을 강조한 이유는 사무엘하 7장3에서 선지자 나단을 통하여
다윗에게 계시한 말씀, “네 몸에서 날 네 씨를 네 뒤에 세워 그의 나라를 견고하게 하리라.
그는 내 이름을 위하여 집을 건축할 것이요 나는 그의 나라 왕위를 영원히 견고하게 하리라“,
네 집과 네 나라가 내 앞에서 영원히 보전되고 네 왕위가 영원히 견고하리라 하셨다 하라“,
이 계시의 말씀이 예수의 탄생으로 성취되었기에 마태복음 저자는 구약의 언약 완성으로 예수의 탄생을 기념하였다.

예수 탄생 전에 작성된 솔로몬의 시편(Psalms of Solomon)이란 글에서는
메시아로 다윗의 아들 오심을 찬양하고 있다.
또한, 유대인이 매일 3번씩 기도 중에 읽는 기도 문서인 18 기도문,
쉐모네 에스레(Shemoneh Esrei)의 14 기도문에서
영광의 거처인 시온에 당신의 의로운 메시아 다윗가의 왕권에 자비를 베푸소서“라고
다윗의 후손에서 메시아가 온다고 믿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