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언은 사도행전 2장에서 언급된 것처럼 성령 충만하여 사도들이 학습되지 않는 외국어를 하는 현상과
유사한 방언(Xenoglossia)과 바울이 고린도 서신에서 표현한 외국어가 아닌 언어의 의미론 관점에서
의미가 없는 음절을 발성하는 현상(Glossolalia)크게 두 가지 종류가 있다.

20 세기 시작하며 많은 은사파 교단이나 교회에서 방언 현상에 관하여 관심과 신학적 의미를 찾기 시작하였다.
방언에 관하여 아직도 기독교의 여러 종파에 따라 서로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또한 방언 현상은 기독교 외에 다른 종교에서도 그 현상이 발생하기에
사회 문화적 관점에서도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방언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기에 역사적 관점에서
방언 현상을 추적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

또한 방언은 심리적 관점에서 연구가 되고 있다.
방언이 천사의 언어인가 혹은 사회 집단의 어떤 상징적 표현이 방법인가 아니면
극단적 격정 상태에 발생하는 비정상적 현상인가?
최근의 뇌과학자들 연구로 방언 현상은 어떻게 과학적으로 이해되는가?

한국의 기독교 출판사에서 방언에 관한 여러 관점을 가진 서적이 여러 권 출판되고
신학자나 목회자들은 각자의 관점에서 방언을 해석하여
방언 은사가 중지되었다는 주장과 지금도 성령의 은사로 나타나고 있다고 상반된 주장을 하는 현실이다.

외국에서는 방언에 관한 종합적이고 여러 관점에서 논의한 여러 권의 서적과 논문이 발간되었지만,
한국 기독교에는 방언의 뜨거운 논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방언에 관한 여러 종합적 관점에서 고찰된 논의가 없었다.

하늘 씨앗의 방언 프로젝트는 몇 가지 소주제로 앞으로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논의에 관한 전개 방식은 일반 신자가 이해할 수 있게
어느 정도 대중성과 전문적인 관점의 균형을 가지며 시작할 것이다.
그리고 논의된 결과는 하늘 씨앗에서 앞으로 출간할 방언에 관한 책자로 엮어 질 것이다.
이 논의가 한국 기독교의 방언에 관한 바른 관점을 제공하기를 소망한다.

아래는 앞으로 논의될 방언의 소주제이고 이 주제 외에 새로운 소주제를 제안하면
조사하여 결과를 제공할 예정이다.

방언 프로젝트에 논의될 주제

1. 기독교 외에 고대 근동 지역과 헬라 시대의 방언의 기록
2. 구약과 70 인역 해석에서 방언의 기록
3. 쿰란 공동체나 랍비 문서 등 초기 유대교의 여러 종파에서 나타난 방언의 기록
4. 신약에서 기록된 방언의 해석. (누가의 방언 관점과 바울의 방언 관점의 신학적 비교 연구)
5. 초대 기독교의 여러 문서(속사도 시대나 교부 시대)에 기록된 방언
6. 초대 기독교의 방언과 이단 논쟁(몬타니즘을 중심으로)
7. 종교 개혁 전까지 기록된 방언 문헌과 사건과 종교 개혁 후에 기록된 방언 문헌과 사건
8. 현대 기독교에서 해석되는 방언의 여러 관점.
9. 기독교 외 다른 종교에서 발생한 방언 현상 연구
10. 사회 문화적 관점에서 방언 연구